아마존, 초거대 AI 언어모델 ‘올림푸스’로 오픈AI 추격한다

초거대AI 시장을 향한 아마존의 발걸음이 심상치 않습니다. 최근 언론보도에 의하면 아마존은 올림푸스 프로젝트를 통해 오픈AI를 넘어서기 위한 경쟁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업들마다 AI솔루션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상황에서 아마존이 이 시장을 손놓고 바라볼 수만은 없겠죠.

2조개의 매개변수를 갖춘 올림푸스

올림푸스는 GPT3, 4와 같은 자연처 처리와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프로젝트입니다. 또 2조개의 매개변수를 갖춘다고 알려져 1조개라고 알려진 오픈AI의 챗GPT-4보다 더 강력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아마도 아마존은 자사의 제품 서비스에 대한 질을 획기적으로 혁신하기 위해 대형언어모델인 LLM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기로 결정한 것 같습니다.

대형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은 자연어 처리와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텍스트의 패턴과 의미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며, 예를 들어 GPT-3와 같은 모델이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수억 개의 문장과 단어를 학습하여 문장의 구조, 문맥, 단어 간의 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거나,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자연어로 작성된 문장을 생성하는 등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LLM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 번역, 질의응답 시스템, 텍스트 요약, 챗봇, 문서 생성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마존에게는 알렉사가 있으니까… 안그래도 신통한 알렉사의 지능이 10배는 더 좋아지겠네요.

그동안 AWS 시장에서 단단히 굳혀온 기반 위에 초거대 AI 솔루션이 결합된다면 오픈AI의 강력한 경쟁자가 되는 건 시간문제인 것 같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올림푸스 프로젝트는 ‘알렉사’의 전 대표이자 AGI(초인공지능)의 수석 연구자이기도 한 로이트 프라사드가 이끈다고 합니다.

이 서비스는 12월 안에 만나볼 수 있을 것 같구요. 서비스가 출시되면 다시 소개해보겠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