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용어 EPS, PER, PBR, ROE, ROA 저평가주, 가치투자

주식용어 PER, PBR, ROE, ROA, EPS는 주식 투자에 있어서 핵심 재무 지표들입니다. 이 지표들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PS(Earnings Per Share, 주당 순이익)

이 지표는 회사의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순이익이 100억 원이고 발행 주식 수가 50억 주라면 EPS는 2원이 됩니다. EPS가 높다는 것은 회사가 주주들에게 더 많은 이익을 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ER(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주가를 EPS로 나눈 값입니다. 회사의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주가가 20원이고 EPS가 2원이라면 PER은 10입니다. 일반적으로 PER이 낮으면 주식이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BPS)로 나눈 값입니다. 이는 회사의 주가가 회사의 장부상 순자산가치의 몇 배인지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000원이고 주당 순자산가치가 500원이라면 PBR은 2입니다. PBR이 낮으면 주식이 장부가치에 비해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회사가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당기순이익을 자본 총액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당기순이익이 100억 원이고 자본 총액이 1000억 원이라면 ROE는 10%입니다. 일반적으로 ROE가 높을수록 회사의 수익성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이익률)

이 지표는 회사가 총자산을 이용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내고 있는지 나타냅니다.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당기순이익이 100억 원이고 총자산이 2000억 원이라면 ROA는 5%입니다. ROA가 높을수록 회사가 자산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재무 지표들은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됩니다. 각 지표들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장 가능성을 다각도에서 평가할 수 있게 해줍니다.